[Git] Cherry-pick (체리픽)으로 특정 커밋 선택하여 새 브랜치에 적용하기 Git Cherry-pick이란?Git에서 Cherry-pick은 특정 커밋을 선택하여 현재 브랜치에 적용하는 기능입니다.즉, 특정 브랜치에서 원하는 커밋만 따로 골라서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입니다. Cherry-pick 예제[예제 상황]feature/branch에서 몇개의 기능을 개발했고,그중 commit B를 feature/new 브랜치에도 적용하고 싶습니다.a1b2c3d (HEAD -> feature/branch) Commit Cf4e5d6b Commit B (이거만 feature/new 브랜치에도 적용하고 싶음)c7d8e9f Commit Ae1f2g3h (feature/new) Previous feature/new commit Cherry-pick 사용 방법1. feature/new.. 3. 개발도구/3_1 Git 2개월 전
[Git] CMD로 git에 소스 올리기 터미널에서 github에 소스 올리는 방법 시작합니다. 01. "ls -al" 명령어로 디렉토리에서 올리려는 파일이 있는지 확인. (만약 없다면, 해당 경로에 폴더째로 넣기) 02. "cd '폴더이름' "cd 명령어로 그 폴더에 들어간다. (폴더에 잘 들어왔는지 확인하려면 "ls -al" 명령어로 확인) 03. github에 들어가서 New 버튼 클릭 04. 체크된 부분만 입력후 repository 생성. 05. "git init" 명령어 입력 06. "git status"로 현재 git 상태 확인 07. "git add ." 명령어 입력 08. "git commit -m "first commit"" 명령어 입력 09. 빨간 박스안에 명령어들 그대로 복사하고 터미널에 붙여넣기 ( ctrl + v가 안 먹.. 3. 개발도구/3_1 Git 5년 전
[Git] Github Desktop 사용법 이번 글에서는 Github Desktop 툴을 이용하여 github에 소스를 업로드 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1) Github.com에서 새로운 repository 생성 2) https부분 복사 3) Github Desktop 실행 4) File - Clone repository 클릭 5) URL 항목에서 github.com에서 복사했던 url을 붙여넣기 6) Local Path 부분으로 가서 txt 파일 생성 (txt 파일에 code 복사) 7) 좌측 하단의 Commit to master 클릭 8) publish branch 클릭하면 끝. github에 잘 올라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개발도구/3_1 Git 5년 전